질병통증정보

혈액암 3기, 생존율과 희망을 함께 이야기해야 하는 이유

건강한 정팀장 2025. 6. 27. 08:08
반응형


혈액암은 백혈병, 림프종, 다발골수종 등을 포함하는 혈액세포와 관련된 암의 총칭입니다. '3기'라는 말은 대부분 림프종처럼 병기를 나누는 혈액암에서 사용되며, 주로 전신 림프절 침범, 간·비장 확대, 뼈나 골수 전이 등이 있을 때 해당됩니다. 혈액암은 종류마다 진행 양상과 치료 반응이 달라서, 단순히 '3기'라고 해서 생존율을 일괄적으로 말하긴 어렵습니다.

예전에 친구의 아버지가 비호지킨 림프종 3기 판정을 받으셨는데, 처음엔 절망적인 이야기만 들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항암치료와 가족의 지지, 생활관리로 5년 넘게 재발 없이 지내고 계신 걸 보면, '3기'라는 말에만 눌리지 말고 질병의 세부적 특성과 회복 가능성에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느낍니다.


혈액암 3기 생존율, 평균 수치보다 중요한 것은?
• 비호지킨 림프종 3기의 경우, 5년 생존율은 평균 60~70%입니다.
• 호지킨 림프종 3기는 80% 이상 생존율을 보이기도 하며, 치료 반응이 좋은 편입니다.
• 다발골수종이나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ALL)**의 경우는 연령, 유전자 변이, 초기 치료 반응에 따라 편차가 큽니다.

Q. 혈액암도 전이가 되나요?
A. 네. 혈액 자체가 온몸을 순환하기 때문에 골수, 간, 비장, 피부,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장기로 전이가 가능해 조기부터 전신질환으로 간주합니다.

어떤 치료를 받게 되나요?
• 기본적으로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이 중심이며, 치료 주기는 암의 종류에 따라 3~8사이클 이상입니다.
• 표적치료제(Rituximab 등)나 면역항암제, CAR-T 치료가 병용되기도 합니다.
• 젊고 건강 상태가 좋은 환자의 경우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도 치료 옵션으로 활용됩니다.

Q. 3기면 골수이식까지 꼭 받아야 하나요?
A. 그렇지 않습니다. 표준 항암요법에 반응이 좋다면 이식 없이도 장기 생존이 가능하며, 이식은 재발 고위험군 또는 고위험 유전자형 환자에게 고려됩니다.


자주 보이는 증상과 위험 신호
• 쉽게 멍이 들고 잦은 코피, 만성 피로감, 야간 발한, 원인 모를 체중 감소
• 림프절이 붓거나 만졌을 때 단단함
• 반복적인 감염, 지속적인 미열, 복부 불편감(비장비대) 등이 있습니다.

Q. 단순 감기 증상과 어떻게 구별하나요?
A. 감기는 보통 1주일 안에 호전되지만, 혈액암은 피로감이 점점 심해지고 열이나 체중 감소가 동반되며, 림프절이 커지거나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면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중 지켜야 할 생활 수칙
• 항암치료 중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개인위생 관리와 외출 자제, 사람 많은 곳 회피가 중요합니다.
• 충분한 단백질과 수분 섭취, 체온 관리, 감염 조기 대응이 필요합니다.
•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이므로, 가족의 지속적인 격려와 정서적 지지가 치료 순응도를 높입니다.

Q. 면역력 낮을 땐 어떻게 식사해야 하나요?
A. 덜 익힌 음식은 피하고, 신선하게 조리한 부드러운 음식 위주로 섭취해야 합니다. 유산균, 고단백 보충제 등도 의료진과 상의 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함께 하면 좋은 영양제
• 비타민 D: 면역세포 활성화, 뼈 건강 유지
• 아연, 셀레늄: 감염 예방, 상처 회복 촉진
• 프로바이오틱스: 장내 환경 개선과 면역 균형 유지
• 고단백 영양식: 체력 회복과 근육 손실 방지에 도움


자주 묻는 질문
Q1. 혈액암은 완치가 가능한가요?
A1. 일부 림프종과 백혈병은 조기 치료 시 완치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재발 가능성이 있어 장기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Q2. 혈액암은 왜 갑자기 생기나요?
A2. 명확한 원인은 없지만 유전, 바이러스 감염(EBV 등), 환경물질, 방사선 노출 등이 영향을 줍니다.

Q3. 치료 중 운동은 가능한가요?
A3. 고열이나 백혈구 수치가 낮을 때는 운동을 삼가야 하며, 안정적인 시기엔 가벼운 걷기나 스트레칭 정도는 회복에 도움됩니다.

혈액암 3기라는 진단은 분명 두려운 말이지만, 종류와 상태에 따라 완치도, 장기 생존도 가능한 병입니다. 중요한 것은 현재 상태에 맞는 치료를 성실히 받고, 나를 둘러싼 가족, 의료진과 함께 꾸준히 이겨내는 마음가짐입니다.

<함께 보시면 좋은 글>

암에 좋은 슈퍼푸드 TOP10 꼭 챙겨드세요

 

암에 좋은 슈퍼푸드 TOP10 꼭 챙겨드세요

가까운 가족이나 지인이 암 진단을 받았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생각은 "내가 뭘 도와줄 수 있을까"일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분들이 암 예방을 위해 건강검진이나 운동을 시

jungteamhealth.tistory.com

 



반응형